제2회 한인정신건강 컨퍼런스 – 주제별 워크샵 내용
제목: 불안한 아이 (Anxious Child: How to Help): 홍라나 박사
어른들은 불안 (Anxiety)을 걱정, 근심, 두려움, 초초함, 조마조마함, 뒤숭숭함 등 수많은 말들로 표현합니다. 개인에 따라 정도는 다르겠지만 어른들의 일상에서 흔히 경험되는 불안한 경험들이 과연 우리 아이들에게는 어떻게 나타나고 있을까요?
불안은 유전요소, 뇌 화학물질, 직면하고 있는 상황 그리고 성격에 따라 다르게 경험된다고 합니다. 물론 타고나 유전요소나, 뇌 화학물질, 그리고 직면하고 있는 상황에 관해서 부모가 직적접으로 통제 할 수 있는게 별로 없을지라도, 아직 충분히 변화가 가능한 아이의 성격에 관해서는 부모가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수있습니다. 또한 일상 생활에서 자녀의 자율 신경계와 심장을 연결하는 사회 개입 시스템 (Social Engagement System)을 증진 시키고 있는 부모-자녀 상호작용을 하고 있다면, 부모는 아이가 직면하는 불안을 다루고 나아갈수 있는 초석을 만들어 주고 있는것입니다.
이번 워크샵에서는 자녀가 표현하고 있는 불안의 의미를 이해하고, 불안과 사회 개입 시스템 사이의 연관 관계를 살펴보면서, 어떻게 사회개입 시스템을 강화하는 부모자녀상호작용을 하는지 또한 부모가 어떻게 불안한 자녀을 도와 줄 수 있는지에 관해서 나눠보겠습니다.
제목: 불안감에서 안정감으로: 커플, 가족 관계 회복하기 (Anxiety to security: Transforming your relationship) Julie Dorr & Erin Kim 상담가
부부/가족 워크샵
- 불안증 이란?
- 불안이 부부/가족 관계에 미치는 영향
- 정서와 사고의 역기능적 패턴
이제까지 가져왔던 불안한 마음을 바꾸는것은 정말 도전적인 일이지만 이것도 하나의 페턴임으로 정서와 사고가 바뀐다면 이런한 역기능적 패턴도 바뀔수 있습니다. 안개에 둘러싸인것같은 막연한 불안을 조금씩 겉어 내면서 부부/가족관계를 회복하는 방법에 대해서 함께 나누며 경험하도록 하겠습니다.
제목: 인생의 황혼기, 상실의 두려움, 새로운 시작 (Twilight Years, Fear of Loss, but New Beginning ) 이재명 & 김숙희 상담가
경제와 의료서비스 수준이 좋아지면서 사람들의 평균 수명이 지속적으로 증가하였고 노년기가 증가하면서 인간은 원하든 원치 않든 꽤 긴 시간의 노년기를 보내게 되었습니다. 여기에는 인간의 수명이 연장되었다는 고무적인 측면과, 하지만 예전에는 경험하지 못한 여러가지 문제점이 유발될 것 이라는 측면이 공존을 하고 있는데요. 2030 년이 되면 모든 Baby Boomers 세대는 65 세 이상이 된다고 합니다. 미국의 인구 비율로 계산하면 5 명중에 한 명은 노인이라는 현실이 다가오고 있는데요. 즉 초고령사회로 진입이 멀지 않다는 얘기가 됩니다.
이러한 변화하는 세상에서 행복한 노년기를 보낸다는 것은 어떤 것일까요? 예전의 사회에서는 노년기의 중점은 어떻게 잘 인생을 마무리하는가에 있었다면, 늘어난 수명으로 인해서 지금은 노년기를 새로운 인생의 시작이라고 보고 준비하는 자세가 필요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행복한 노년기를 보내기 위해서 우리가 준비할 것은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시카고한인정신건강협회가 주최하는 11 월 16 일 콘퍼런스에서 “인생의 황혼기, 상실의 두려움, 새로운 시작 (Twilight Years, Fear of Loss, but New Beginning)” 이라는 주제의 워크숍을 통해서 시니어들이 고민하고 있는 행복한 노년기를 위한 준비에 대해서 이야기 나누고자 합니다.
제목: 남자의 세계 (Stress & anxiety management) Jin Lee 상담가
This workshop was intentionally designed for male participants. It is intended to create a safe space for men to discuss specific challenges and contributing factors to their stressful experiences. The group discussion will be interactive, and the participants will learn practical strategies and techniques to manage their anxious symptoms better.
모든 남성 참가자를 위한 워크샵입니다. 남성으로서 사회, 가정, 문화로 부터 받는 도전은 무엇인지와 스트레스에 대한 경험을 나눕니다. 도전과 스트레스를 구성하는 요소들은 무엇인지 함께 토론하며 경험을 나누는 남성들을 위한 공간입니다. 그룹 토론을 통해 참가자들은 개인의 불안한 증상을 더 잘 관리하기 위한 실용적인 대처 방법을 함께 배우고 나누는 시간입니다.
제목: 건강한 자기 돌봄 (Self-care and quality Life) 이은정 & 조옥순 박사
내용: 당신은 당신을 얼마나 돌보고 계십니까? 누구의 부모, 누구의 자식, 누구의 동료라는 이유로 다른 이들 돌보느라 자신을 돌보는 걸 잊고 살고 있지는 않으신지요? 돌봄도 자기 돌봄이 제일 먼저라는 것을 알고 계신지요? 나를 사랑하지 않고 결코 다른 사람을 사랑할 수 없고 내가 행복하지 않은데 주변 사람을 잘 돌볼 수 있을까요? 이 워크샵에서는 자기 돌봄이 얼마나 중요한지, 내게 삶의 질은 어떤 의미인지 짚어보고 적합한 자기돌봄방법들에 대해서 함께 배워볼 예정입니다.
제목: 예술 치료를 통해 마음 다스리기 (Exercise mindfulness through expressive therapy) 김유리 & 최선 상담가
바쁘고 빠르게 돌아가는 세상, 스트레스와 과로로 침체된 몸과 마음을 어떻게 다스리고 계신가요?
예술 치료란? 긍정적인 심리적 효과가 입증된 심리 치료 요법입니다.
- 스트레스, 만성적, 난치성 질병의 고통 예방및 완화
- 심리적 불균형 상태 회복 및 긴장과 불안 감소
- 다양한 정서 경험의 증가및 정체감 증대
인간은 누구나 창조 활동을 통해 자아와 타인에 대한 자각을 높이고 각종 스트레스, 트라우마적 경험들에 대해 대처할 수 있습니다. 이번 워크샵에서 예술 치료 (Body scanning & art therapy)를 통해 나의 몸과 마음을 이해함과 동시에 육체 , 정신 건강의 조화를 바탕으로한 치유 과정을 경험해 보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