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한 가정 세미나 – 주제별 워크샾 내용
행복한 가정 세미나
주제별 워크샵
1. 문화적 관점에서 이민 가정 이해하기 /
Understanding immigrant families from a cross-cultural perspective
2. 나의 한국 아버지 / My Korean Father
3. 내 맘을 몰라주는 당신 / Being understood
4. 100 세 시대: 시니어들과 보호자분들의 마음 건강 챙기기 / Promoting healthy body and mind for seniors and caregivers
5. 자녀양육 101: 감정 읽어 주기 및 우리 아이가 달라졌어요. / Parenting 101: Validating emotion & motivation for change
행복한 가정 세미나는 다양한 주제와 내용으로 구성되었습니다.
시카고 지역의 한인 정신과 의사, 교수, 상담가 분들께서 임상 경험과 상담 그리고 연구를 통해 가정과 지역사회에 꼭 필요한 주제와 내용으로 워크샵을 준비하면서 여러분들과 만남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행복한 가정 세미나에서는 패널 토의와 5 가지 주제별 워크샵이 진행될 예정입니다.
각 주제별 워크샵에서 나눌 내용들을 간단히 소개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1. 문화적 관점에서 이민 가정 이해하기 홍옥로 의학박사 & 윤은주 박사Understanding immigrant families from a cross-cultural perspective
현재 상담심리학자이신 윤은주 선생님과 홍옥로 정신과 의사 선생님 두분 께서 이민 가정들이 경험하는 이슈들을 문화적 관점에서 설명하고 이민 가정들이 경험하는 어려움들에 대해 이야기를 나눌 예정인데요.
몇가지 말씀드리자면…
• 문화적 차이로 인한 가정내에서의 세대간의 갈등
• 성역활의 변화로 인한 남성과 여성의 경험들
• 부모 세대 와 자녀 세대의 고충등에 대해서 논의하고 이해하기
• 문화적 정체성이 정신 건강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살펴볼 예정입니다.
현재 이민 가정, 가족간의 균형적인 관계를 이루는 것이 중요한데요
그러기 위해서는 가족간의 서로에게 미치는 영향, 힘, 또는 제약등 관계를 (역학) 이해하는것이 필요합니다.
또한미국 주류 문화와 한국 문화의 두 문화 사이를 오가며, 어떻게 개인의 정체성을 발달 시킬것인가에 대해 우리가 생각하고 이해해야 하는 부분이라고 생각합니다.
2. 나의 한국 아버지 Jin Lee 상담가
My Korean Father
여러분들은 한국 아버지를 떠오르면 어떻한 생각과 느낌이 드세요? 각자가 떠오르시는 이미지가 있으실꺼고, 우리가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전형적인 한국 아비지에 대한 이미지가 있을 겁니다.
이번 워크샵을 통해서 Jin Lee 상담가는
1.5세 상담가로서 자녀를 양육하는 아버지로서 1.5세 와 2 세들을 상담하면서 우리 자녀들이 1 세대 아버지로 부터 받은 영향에 대해, 다시 말해서 한국 1 세대 아버지가 1.5세와 2 세에게 끼친 영향에 대하여 깊숙히 이야기를 나눌 예정입니다.
• 아버지의 역활이 가정과 자녀에게 끼치는 영향
• 자녀들에게 끼친 좋은 영향력과 장점은 과 반대로 안좋은 영향력을 끼친것은 무엇인지에 대하여 나누고
• 앞으로 어떻게 하면 우리 자녀들에게 좀더 업 그레이드 된 아버지 역활로 긍정적이고 올바른 영향을 끼칠지에 대하여 함께 고민하고 방법을 찿는 시간이 되겠습니다.
이 시간을 통해 참여자분들이 함께 경험을 나누고 서로 커뮤니케이션 하면서 배우는 시간이 되기를 바라며, 참여자 분들이 주인공이시라는점 잊지 마시기 바랍니다.
3. 내 맘을 몰라주는 당신 Julie Dorr 상담가 & 서소영 박사
Being understood
주제만 들어도 느낌이 오시죠. 커플을 위한 워크샵이 되겠습니다
부부상담을 찾는 가장 흔한 표면적 이슈는 서로 커뮤니케이션이 안된다는 것입니다.
다시 말하면 부부가 부정적 대화방식에 갇혀 있다는 것입니다. 이렇게 되면 서로의 스토리에 일관성은 없어지고 혼란이와서 부부는 각자 자 신의 입장에서 스토리를 일방적으로 전개하기 때문에 심한 왜곡이 일어납니다.
배려를 원하는데 배려해 주지 않 는다는 이야기가 난무합니다.
즉 내맘을 몰라준다는것이죠.
이번 워크샵 에서는 부부의 부정적 대화방식을 찿아 그 페턴에서 서로가 맡은 역할은 무엇인지에 대해 알아보고, 어떻게 그 부정적 대화방식에서 탈출하여 부부 관계 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지고 올것이지에 대해 나누워 보겠습니다.
4. 100 세 시대 : 시니어들과 보호자분들의 마음 건강 챙기기 / 이재명 & 김숙희 상담가
Promoting healthy body and mind for seniors and caregivers
현재를 살아가는 사람들의 노년에 대한 인식은 희망과 긍정보다는 ‘불안과 부정’ 입니다. 오래 살지만 건강하지 않는 모습으로 생명 유지만 하는 삶 또한 함께 떠오르곤 합니다.
인지적 장애, 즉 기억력 과 판단력 저하, 집중력 또는 학습능력 저하 등으로 인해 시니어분들이 일상생활에 대한 어려움들을 겪고 있는것이 현실입니다.
이러한 어려움들로 인해서 오는 신체적인 문제들은 비교적 케어가 되고 있지만, 정신적인 문제들은 잘 돌보아 지지 않고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또한 이러한 시니어 분들을 돌보시는 보호자 분들의 마음건강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알면서도 안타깝게도 소홀이 다루어 지는 경향이 있는데요 스스로 생각하고 점검해 보아야 합니다.
6 월 1 일 워크숍에서 시니어들의 인지장애와 노년기 우울증, 그리고 보호자분들의 정신건강에 대해서 이야기 나누고자 합니다.
5. 101: 감정 읽어 주기 및 우리 아이가 달라졌어요. 김주희 & 김혜노 상담가Parenting 101: Validating emotion & motivation for change
세미나에서 빠질수 없는 부모님들을 위한 자녀양육! 이 세미나에서 다룰 주제는 아이의 감정을 읽어 주는 방법 (감정코칭)과 자녀들이 주로 관련되어 있는 행동중에 스마트폰 사용이 있습니다.
어떻게 하면 스마트폰 사용을 지혜롭게 제한하고 더 건강한 선택을 할 수 있도록 guide 하는 방법에 대해 나눌 예정입니다.
우리 부모님들은 자녀들의 감정에 대해서 얼마나 알고 이해하고 계실까요?
화가나고 이상하거나 흥분 하면서 나중에 후회하게 되고 아이와의 관계가 안좋은 감정 패턴으로 반복 되면서 사이가 틀어 지는것을 경험하신 적이 있으실겁니다.
감정이 느껴지는 이후에 나타내는 좋거나 나쁜 행동이 있는 반면 모든 감정은 자연스러운 현상이기 때문에 좋고 나쁜 감정은 없습니다.
이때 부모님들이 꼭 기억해야할 두가지가 있습니다.
아이가 감정을 느끼도록 허락하기 (validating emotions),
그리고 바람직한 행동이 나오도록 선도하기 (limiting bad behaviors, encouraging good behaviors).
지나친 스마트폰 사용은 초조 및 불안증상이 생기는 Nomophobia 또는 행동 중독(behavior addiction)로 까지 갈수있습니다.
미국 common sense media 에서 십대 청소년을 대상으로 연구조사한 바에 따르면 십대 청소년들의 72%가 texts, social networking messages 외에 email or other notification 에 즉시 대답해야할 필요성을 느낀다고 답변했으며 66%의 부모님들께서 자녀들이 스마트폰 사용에 많은 시간을 보낸다고 응답했습니다.
자녀들이 건강하지 못한 방법을 택했을때 무조건 나빠! 하지마! 라고 하기전에 우리자녀가 왜 그러한 행동을 하게 되었는지 이해하고 함께 방법을 찿으면서 스스로 건강한 선택을 할 수 있도록 motivation 즉 동기를 부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어떻게 동기 부여를 할지에 대해서는 워크샵을 통해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